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주휴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2026년 최저시급 실수령액

 
2026년 최저시급이 10,320원으로 결정되면서, 실제로 근로자가 받게 될 월급여는 얼마나 될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주휴수당, 4대보험 공제, 세금 등을 고려하면 실수령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해하기 어려운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 최저시급을 적용한 월급 계산 과정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급과 주휴수당 계산

최저시급 10,320원이 의미하는 바

2026년 시간당 최저임금은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주 40시간 기준 기본 시급입니다.

주휴수당 계산 원리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만근한 경우, 별도 휴무일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주 평균 8시간×시급으로 계산됩니다.

월 환산 기준

월별 근로 시간은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약 209시간(209일 기준)입니다.

여기에 주휴수당(월 8시간×시급)까지 포함하면 월 기준 환산 시간이 늘어나 최저시급으로 환산 시 더 높은 금액이 됩니다.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월급 및 연봉 환산

기본급 계산

● 기본급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주휴수당 포함 시

● 주휴수당 = 10,320원 × 8시간 × 4.

34주 ≈ 10,32원 × 34.

72시간 ≈ 358,310원
● 총 월급(세전) = 기본급 + 주휴수당 ≈ 2,156,880 + 358,310 ≈ 2,515,190원

연봉 기준

● 연봉 환산 = 총 월급 × 12 ≈ 30,182,280원
 

 

4대보험 및 세금 공제

4대보험 항목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보험 0.4591%
● 고용보험: 약 0.9%

세금 공제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약 3.3%

총 공제율

대략 12% 내외를 4대보험 및 세금으로 공제한다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 예측

4대보험 공제액

● 공제 총액 = 2,515,190 × 12% ≈ 301,822원

실수령액

● 실수령액 = 2,515,190 − 301,822 ≈ 2,213,368원
 

2026년 예상 실수령액 2,213,368원

추가 사항 및 주의점

상여금·수당 포함 여부

최저임금 산입 범위에는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등이 포함될 수 있어, 실제 계산 시 주의해야 합니다.

주 15시간 미만 근로 시

4대보험 가입 대상이 아니므로 공제 없이 월급 전액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수습근로자 적용 시

수습 3개월 내 단순노무 시 최저시급의 90% 적용이 가능합니다.

 

 

글을 마치며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시급 기준으로 주휴수당 포함 시 세전 월급은 약 2,515,000원, 실수령액은 공제 후 약 2,213,000원 수준이 됩니다.

물론 실제 근무시간, 수당, 보험 가입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계산 식을 토대로 실제 계산하면 본인의 월급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